절대 공감!!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개발자가 성공하는 길" 요약
00:00:00 ~ 00:12:17
* 개발자가 성공하는 조건
1) 개발자라면, 실력, 전문지식이 중요하다. (속도/성능 향상, 효율적인 코딩에 관심가지고 공부해야 함)
2) 창의력 부분 (쏘팅, 라이브러리를 그냥 복사해서 사용 보다는 내부 로직을 이해하려고 노력, 또 다른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보는 노력)
3) 장인정신 (자신의 개발 프로그래밍에서 버그 찾아내도록 본인이 노력, 버그에 대해서는 수치심/부끄러워 할 줄 알아야 함. 본인의 실력, 퀄리티이고 마음 가짐이다. 실력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함)
4) 커뮤니케이션 (과거는 혼자 작업, 현재는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전문가에게 자신의 분야를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부분, 협조를 구하는 능력도 중요해지고 있음. 본인의 전문지식+ 커뮤니케이션 능력, 상대방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시키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해짐)
5) 팀 워크 부분 (자신의 영역에 대한 선을 긋고 양보를 하지 않는 마음 가짐 문제<- 장기적으로는 따돌림, 인간관계에 문제 생김)
( ~ 00:12:17) 다시 한번 요약하면,
1) 기초부터 튼튼한 전문 지식 갖추기
2) 창의력 (새로운 방식 고민)
3) 장인정신 (자신의 제품에 대한 오류 부분등은 부끄러워야 할 줄 아는 마음 가짐 필요)
4) 커뮤니케이션 능력(다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신의 개발 제품을 이해시키고 설득 시킬수 있는 능력)
5) 팀워크 능력 (서로간, 처음 역할 분담에 집착하지 않고, 넉넉한 마음으로 빈곳을 채울수 있는 마음 가짐)
00:12:19 ~
*** 외국과 국내 개발자와의 차이 **
"코더와 프로그래머는 다르다."
코딩하는 재미를 넘어서서 전체적으로 구조를 설계를 하고,
어떤 데이타 스트럭처에 가져야 확장성이 있을지 고민해야 함.
00:16:00 ~
*** 개발자에게 창조적인 마인드란 ***
창의력/창조력:
***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잘 듣는것에 시작, 상대의 눈높이에 맞춰 잘 듣는 것이 중요하다.
본인이 말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한다. 상대의 이해수준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
개발자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것은 5가지(전문지식,창의력,장인정신,커뮤니케이션,팀워크) + 다른 분야에 대한 넓은 관심(상식,포용력)
*** 45세 개발을 해야 하는가? ***
계속 노력해서 후배들을 따라 잡을 수 있다면, 회사 조직에서 제도적으로 이해를 구할 수 있는지?
*** 안철수 교수님의 시간관리 능력 ***
내가 직접 일을 하면서 깨닫는 부분에 대한 책을 쓴 부분이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 개발자들이 가져야 할 비전이란? ***
비전은 자기 개인이 갖는 거다. 개인적인 성공의 정의와 연관이 된다.
*** 안철수 교수의 개발 스트레스 해소법 ***
*** 안철수 교수의 추천 책 ***
팀워크, 조직관리에 관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개인의 발전 "성공하는 사람의 7가지 습관"
현대를 살아가는 기술 분야 => 월드이즈 플랫 "World is plat"
Social Networking => 티핑 포인트
성공하는 사람들 => 아웃라이언스 (세계를 보는 다양한 시각)
*** 기업과 창업의 정신 ***
기업가: 업을 일으키는 사람의 정신, 현상 유지를 하는 단순한 것이 아니고 위험에도 불구하고 기득권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마인드, 스스로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믿는 것을 하는 것.
기업
*** 개발자, IT 종사자에게 덕담 한마디 ***
전망은 참 덧없다.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성공,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안정적이다.
46:39초 동영상
http://www.devmento.co.kr/devmain/ucc/ucc/ucc_detail.jsp?cate_code=ADAFAA&dataSeq=76&main_id=SUCC1W001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개발자가 성공하는 길" 요약
00:00:00 ~ 00:12:17
* 개발자가 성공하는 조건
1) 개발자라면, 실력, 전문지식이 중요하다. (속도/성능 향상, 효율적인 코딩에 관심가지고 공부해야 함)
2) 창의력 부분 (쏘팅, 라이브러리를 그냥 복사해서 사용 보다는 내부 로직을 이해하려고 노력, 또 다른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보는 노력)
3) 장인정신 (자신의 개발 프로그래밍에서 버그 찾아내도록 본인이 노력, 버그에 대해서는 수치심/부끄러워 할 줄 알아야 함. 본인의 실력, 퀄리티이고 마음 가짐이다. 실력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함)
4) 커뮤니케이션 (과거는 혼자 작업, 현재는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전문가에게 자신의 분야를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부분, 협조를 구하는 능력도 중요해지고 있음. 본인의 전문지식+ 커뮤니케이션 능력, 상대방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시키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해짐)
5) 팀 워크 부분 (자신의 영역에 대한 선을 긋고 양보를 하지 않는 마음 가짐 문제<- 장기적으로는 따돌림, 인간관계에 문제 생김)
( ~ 00:12:17) 다시 한번 요약하면,
1) 기초부터 튼튼한 전문 지식 갖추기
2) 창의력 (새로운 방식 고민)
3) 장인정신 (자신의 제품에 대한 오류 부분등은 부끄러워야 할 줄 아는 마음 가짐 필요)
4) 커뮤니케이션 능력(다른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신의 개발 제품을 이해시키고 설득 시킬수 있는 능력)
5) 팀워크 능력 (서로간, 처음 역할 분담에 집착하지 않고, 넉넉한 마음으로 빈곳을 채울수 있는 마음 가짐)
00:12:19 ~
*** 외국과 국내 개발자와의 차이 **
"코더와 프로그래머는 다르다."
코딩하는 재미를 넘어서서 전체적으로 구조를 설계를 하고,
어떤 데이타 스트럭처에 가져야 확장성이 있을지 고민해야 함.
00:16:00 ~
*** 개발자에게 창조적인 마인드란 ***
창의력/창조력:
***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잘 듣는것에 시작, 상대의 눈높이에 맞춰 잘 듣는 것이 중요하다.
본인이 말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한다. 상대의 이해수준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
개발자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것은 5가지(전문지식,창의력,장인정신,커뮤니케이션,팀워크) + 다른 분야에 대한 넓은 관심(상식,포용력)
*** 45세 개발을 해야 하는가? ***
계속 노력해서 후배들을 따라 잡을 수 있다면, 회사 조직에서 제도적으로 이해를 구할 수 있는지?
*** 안철수 교수님의 시간관리 능력 ***
내가 직접 일을 하면서 깨닫는 부분에 대한 책을 쓴 부분이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 개발자들이 가져야 할 비전이란? ***
비전은 자기 개인이 갖는 거다. 개인적인 성공의 정의와 연관이 된다.
*** 안철수 교수의 개발 스트레스 해소법 ***
*** 안철수 교수의 추천 책 ***
팀워크, 조직관리에 관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개인의 발전 "성공하는 사람의 7가지 습관"
현대를 살아가는 기술 분야 => 월드이즈 플랫 "World is plat"
Social Networking => 티핑 포인트
성공하는 사람들 => 아웃라이언스 (세계를 보는 다양한 시각)
*** 기업과 창업의 정신 ***
기업가: 업을 일으키는 사람의 정신, 현상 유지를 하는 단순한 것이 아니고 위험에도 불구하고 기득권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마인드, 스스로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믿는 것을 하는 것.
기업
*** 개발자, IT 종사자에게 덕담 한마디 ***
전망은 참 덧없다.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성공,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안정적이다.
46:39초 동영상
http://www.devmento.co.kr/devmain/ucc/ucc/ucc_detail.jsp?cate_code=ADAFAA&dataSeq=76&main_id=SUCC1W001
'Etc..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관리 테크닉 (0) | 2010.08.16 |
---|---|
웹2.0 HTML5 (0) | 2010.08.14 |
Due Care 와 Due Diligence (0) | 2010.08.14 |
DDoS 공격 (0) | 2010.08.13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