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5와 CSS3를 사용하여 최신 웹 사이트 구축하기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tutorial/wa-html5/index.html
http://100.naver.com/100.nhn?docid=824783
웹2.0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웹 1.0에 비해 웹2.0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딜리셔스(del.icio.us) 등이 이에 속한다.
http://ko.wikipedia.org/wiki/HTML5
HTML5
HTML5는 HTML의 차기 주요 제안 버전으로 월드 와이드 웹의 핵심 마크업 언어이다. 2004년 6월 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WHATWG)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1.0이라는 이름으로 세부 명세 작업을 시작하였다. 2010년 3월 현재 WHATWG의 현재 초안 표준 상태(Draft Standard state)이며, W3C에서는 작업 초안 상태(Working Draft state)이다.
HTML5는 HTML 4.01, XHTML 1.0, DOM Level 2 HTML에 대한 차기 표준 제안이다. 이것은 어도비 플래시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실버라이트, 썬의 자바FX와 같은 플러그인 기반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를 줄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http://www.mediafront.org/ Open Source Media
http://www.mediafront.org/project/osmplayer Open Standard Media (OSM) Player
http://ko.wikipedia.org/wiki/HTML5_동영상 jQuery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GPL)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tutorial/wa-html5/index.html
http://100.naver.com/100.nhn?docid=824783
웹2.0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웹 1.0에 비해 웹2.0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딜리셔스(del.icio.us) 등이 이에 속한다.
http://ko.wikipedia.org/wiki/HTML5
HTML5
HTML5는 HTML의 차기 주요 제안 버전으로 월드 와이드 웹의 핵심 마크업 언어이다. 2004년 6월 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WHATWG)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1.0이라는 이름으로 세부 명세 작업을 시작하였다. 2010년 3월 현재 WHATWG의 현재 초안 표준 상태(Draft Standard state)이며, W3C에서는 작업 초안 상태(Working Draft state)이다.
HTML5는 HTML 4.01, XHTML 1.0, DOM Level 2 HTML에 대한 차기 표준 제안이다. 이것은 어도비 플래시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실버라이트, 썬의 자바FX와 같은 플러그인 기반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를 줄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http://www.mediafront.org/ Open Source Media
http://www.mediafront.org/project/osmplayer Open Standard Media (OSM) Player
http://ko.wikipedia.org/wiki/HTML5_동영상 jQuery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GPL)
'Etc..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관리 테크닉 (0) | 2010.08.16 |
---|---|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개발자가 성공하는 길" 요약 (0) | 2010.08.16 |
Due Care 와 Due Diligence (0) | 2010.08.14 |
DDoS 공격 (0) | 2010.08.13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 2010.08.13 |